← Back to Summaries

Snippy Summary

앞으로 5년, 스테이블 코인 말고 '이것'만 꾸준히 사 모으세요. 평생 연금 받으며 부자로 삽니다 (오태민 교수 / 2부)

September 25, 2025 17:40
웅달 책방 avatar
웅달 책방
Visit channel →

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 전망 및 투자 전략

이 영상은 달러 스테이블 코인(이하 '달스')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과 그 투자 전략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.

주요 내용

1.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의 폭발적인 성장 가능성

  • 현황: 현재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 규모는 약 2,500억 달러입니다. [0:00]
  • 미래 전망:
    • 보수적인 전망으로는 2030년까지 3조 달러(10배 이상 성장)를 예상합니다. [0:25, 1:33]
    • 하지만 발표자는 이보다 훨씬 빠른 성장을 예상하며, 2030년까지 최소 20배 성장을 전망합니다. [0:30, 1:58]
    • 이는 "평생에 한 번 있는 기회"이자, 디지털 세계에서 달러의 패권을 유지할 수 있는 찬스로 보고 있습니다. [0:31, 3:30]

2.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등장 배경 및 작동 방식

  • 비트코인과 달러의 결합: 비트코인의 '국경 없는 장점'과 달러의 '가격 안정성'을 결합한 것이 달러 스테이블 코인입니다. [0:31, 10:07]
  • 발행 방식: 달러 국채를 담보로 발행된 토큰입니다. [1:48]
  • 미국의 정책적 지원:
    • 미국 국채를 각 국가가 매입하는 데 어려움이 있자, 일반 국민에게 판매하는 방안으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생각하게 되었습니다. [2:05]
    • 특히 중국의 디뱅킹 사태 이후, 중국인들이 위챗페이, 알리페이 등을 통해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활용한 사례가 힌트가 되었습니다. [2:13]
    •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빠르게 입법화되었으며, 미국 재무장관 역시 "평생에 한 번 있는 기회"라며 강력하게 지지하고 있습니다. [3:07, 3:30]

3.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시장 확대와 영향

  • 빅테크 기업의 움직임:
    • 주요 빅테크 기업들이 미국의 기준에 맞춰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받아들이고 있습니다. [3:45]
    • 특히 비자(Visa)와 마스터카드(Mastercard)는 국경 간 결제 시스템으로서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파트너십을 맺고 결제망을 확장하고 있습니다. [3:58, 4:17] 이는 은행망이 부족한 중동, 아프리카 지역에서 더욱 두드러집니다. [4:46]
    • 삼성전자도 미국에서 달러 스테이블 코인 관련 사업을 시작했으며, 스마트폰 기반 발행을 염두에 두고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. [4:57]
  • 기존 금융 시스템과의 관계:
    •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결제망으로서 탁월한 강점을 가지며, 이는 기존 금융 기관을 위협하는 요소입니다. [5:10]
    • 발표자는 메타, X(트위터), 삼성, 애플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결국 은행을 대체할 것이라고 예측합니다. [0:15, 8:03]
    • 은행은 더 이상 건물이 아닌 금융 시스템으로 이해해야 하며, 디지털화된 결제망이 기존 은행을 흡수할 것입니다. [7:30, 8:00]

4.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비트코인의 관계 및 투자 전략

  • 달러 스테이블 코인의 한계: 달러 스테이블 코인 자체는 1달러의 가치를 유지하므로 직접적인 투자 수익을 기대하기 어렵습니다. [10:22]
  • 비트코인의 역할:
    •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을 담보로 활용하여 신용 시스템의 엔진 역할을 하게 될 것입니다. [11:00, 11:15]
    • 레포(Repo) 거래를 통해 비트코인을 담보로 달러 스테이블 코인을 발행하고, 이를 다시 비트코인 구매에 사용하는 방식이 활성화될 것입니다. [11:24, 12:57]
    • 이는 비트코인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 이자율을 발생시키며, 기존 월가 금융의 복잡한 기법들이 비트코인으로 옮겨올 것입니다. [13:28, 13:50]
  • 기존 금융과의 차이점:
    • 스마트 컨트랙트와 만나며, 카운터파티 리스크가 없습니다. [14:30]
    • 미국 국채 기반 레포보다 비트코인 기반 레포가 북한, 브라질, 러시아 등 제재 대상 국가의 올리가르크에게 더 매력적일 수 있습니다. (동결 위험 없음) [15:00, 15:22]

5. 비트코인 투자에 대한 현실적인 전망

  • 안전 자산으로서의 비트코인:
    • 비트코인은 예금, 강남 부동산과 비교했을 때 가장 불안정하지만 수익률은 가장 높습니다. [15:42]
    • 과거와 같은 300배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하기보다는, 연 25%의 안전 자산으로 생각해야 합니다. [16:02, 16:16]
    • 이는 미국 정부의 관료나 씽크탱크가 바라보는 비트코인의 잠재적 수익률에 기반한 추산입니다. [23:18]
  • 투자 조언:
    • 근로소득 외 자본 이득이 연 25%에 미치지 못한다면, 기존의 자영업 등을 과감히 접고 비트코인에 '파킹'하는 것을 고려해볼 만합니다. [23:45]
    • 이는 개인의 국익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[23:50]

6. 한국의 원화 스테이블 코인 및 CBDC

  • 경쟁력: 원화 스테이블 코인이나 CBDC가 달러 스테이블 코인과 경쟁하기는 어렵습니다. [20:10]
  • 의미: 하지만 원화 스테이블 코인의 추진은 한국 빅테크 기업들에게 "달려 나가라"는 메시지를 주는 동시에, 한국이 코인 관련 사업에 대해 더 이상 간섭하지 않고 권장하거나 최소한 용인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. [20:41, 21:12]
  • 정부 및 기업의 변화: 이재명 정부 들어 코인에 대한 인식이 변화했으며, 삼성, 현대 등 국내 기업들도 스테이블 코인 관련 사업을 적극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. [21:02, 22:34]

핵심 요약 및 투자 조언

  • 달러 스테이블 코인 시장은 향후 10년 안에 20배 이상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입니다. 이는 달러의 글로벌 패권을 디지털 시대에도 유지하려는 미국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결과입니다.
  • 비자, 마스터카드, 삼성전자 등 빅테크 기업들이 달러 스테이블 코인 생태계 확장에 주도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. 이들은 기존 금융 시스템을 혁신하고 대체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.
  • 투자자는 직접적인 달러 스테이블 코인 투자보다는 비트코인에 주목해야 합니다. 달러 스테이블 코인은 비트코인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고, 레포 거래 등을 통해 비트코인의 가치 상승을 견인할 것입니다.
  • 비트코인을 연 25%의 안전 자산으로 인식하고, 꾸준히 투자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. 개인의 자본 이득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다면, 비트코인에 자금을 '파킹'하는 것을 고려해볼 만합니다.

주의: 본 요약은 영상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며, 투자 권유가 아닌 정보 제공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모든 투자는 본인의 판단과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