YouTube 영상 요약: 바이킹 타임스 (금요일)
## 영상 개요 및 주제 [0:00-3:42]
- 오늘의 시작: 금요일 아침, 즐겁고 유쾌한 하루를 기원하며 방송을 시작합니다. 주식 시장을 '파도'에 비유하며, 현재는 잠시 조정 구간이지만 다시 상승할 것이라는 '등산'의 비유를 사용합니다.
- 주요 논의 주제:
- 최근 시장의 급락에 대한 두려움('쫄았다')과 어제 저점 매수의 기회.
- 복잡해진 금리 인하 전망과 이에 대한 심층 분석.
- 매수 vs 매도 결정의 중요성 강조 (오늘 결정하고 주말 휴식).
- 미국 주요 지수 및 개별 종목 분석.
- 미 정부 셧다운 가능성 및 기타 뉴스.
## 시장 동향 및 주요 지수 분석 [4:12-6:51]
- 미국 주요 지수:
- 다우존스: 0.38% 상승
- 나스닥: 0.5% 상승 (장 시작 후 개파락 후 30분 만에 회복)
- S&P 500: 0.5% 하락
- 러셀 2000: 0.96% 하락 (금리 인하에 민감하게 반응)
- 시장 심리: 어제 시장은 '쫄릴' 수 있는 상황이었으며, 저점 매수자들은 '승자'라고 언급합니다.
- 금리 인하 관심: 시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높은 관심을 재확인했으며, 이는 앞으로도 중요한 주제가 될 것입니다.
- 투자 조언: 등산 중에도 핸드폰으로 MTS를 켜고 매수/매도 고민을 해야 하는 시점임을 강조하며, 오늘 매수/매도 결정을 내릴 것을 강력히 촉구합니다.
## 개별 종목 및 섹터 분석 [6:51-15:40]
- 핵심 기업 분석:
- 애플: 아이폰 판매량이 핵심이며, 최근 아이폰 수요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으로 주가 흐름이 좋음.
- 엔비디아: AI 분야의 독보적인 기업.
- 테슬라: -4% 하락.
- 오라클: -5% 하락 (애프터 마켓 1% 상승). 틱톡 딜 성사 가능성 언급.
- IBM: 양자 컴퓨팅 관련 호재로 상승.
- 인텔: 8.8% 상승. 기술력과 TSMC와의 경쟁에 대한 의문도 있지만, 트럼프 정부의 지원으로 상승세.
- 제타 (Zeta) 분석 [9:24-11:27]:
- 50일선, 20일선 지지 확인 후 반등.
- 19달러 이하 구간은 보기 힘들 것으로 전망하며, 연말까지 긍정적으로 바라봄.
- 다음 분기 실적 발표 시 EPS 흑자 전환 가능성을 기대하며, 이는 주가 상승 탄력을 붙일 수 있는 요인으로 분석 (팔란티어의 경우와 유사).
- 매출 성장세가 견조하며, 과거 대비 EPS 개선 추세를 보임.
- 본인은 현재 물려있지만, 감내할 수 있는 수준이며, '한 배를 탔다'는 심정으로 함께 가야 함을 강조.
- 크라토스 (Kratos) [8:40, 16:09]: PD가 매수한 종목으로 상승했으나, 개미 투자자처럼 중간에 매도했다고 언급.
- 라이프 360 (Life360) [16:40]: 매출 급증으로 사상 최고치 랠리를 기록 중.
- IONQ [8:53, 17:43]: 양자 컴퓨팅 관련 종목으로 -6% 하락. 금리 인하 민감성이 높다고 분석.
- 코스코 (Costco) 실적 [29:43]: 매출 및 EPS 시장 예상치 상회. 주가는 다소 심심한 흐름.
- 기타:
- 오클로 (Ocullo): 장중 -16%까지 하락 후 종가 -9%로 회복.
- 애플 에어팟: 가볍다는 긍정적인 언급.
## 거시 경제 지표 및 시장 영향 분석 [18:14-29:15]
- 10년물 국채 금리 상승: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낮추는 요인.
- 유가 상승: WTI 65달러. 물가에 악영향 가능성.
- 달러 인덱스 상승: 어제 경제 지표 발표 후 상승.
- 원달러 환율 상승 (1,409원): 원화 약세 두드러짐.
- 금 가격 상승: 채권 수요보다 금으로 쏠리는 수요 증가.
- 미국 2분기 GDP 3.8% (예상치 3.3% 상회): 경기 호조를 나타내지만, 금리 인하 명분 약화.
-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218,000건 (예상치 233,000건 하회): 고용 시장 견고함 시사.
- 시장 메시지: 좋은 경기 지표에도 불구하고 시장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놓지 않으려 하지만, 현실은 금리 인하 명분이 약해지고 있다는 분석.
- 트럼프의 금리 인하 압박: 트럼프는 금리 인하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며, 이는 시장에 긍정적일 수 있다고 봄.
- GDP 상승 요인: 수입 감소, 소비 증가 (고액 자산가 중심).
- 미국 경제 건전성: 유럽 등 타 국가 대비 미국 경제의 튼튼함을 강조하며, 과거와 다른 환경에서 금리가 높아도 성장률이 견고함을 보여줌.
- 일본 금리 인상 검토: 미국 금리 인하와 일본 금리 인상 시 엔 캐리 트레이드 자금 이동 가능성 언급.
- 개인 소비 지출 (PCE) 발표 예정 [28:41]: 오늘 저녁 발표될 PCE 지표가 시장 변동성의 주요 요인이 될 것으로 예상. 지표가 예상치와 비슷하면 안도감이 나올 수 있다고 전망.
## 전문가 분석 및 향후 전망 [31:16-36:32]
- 시장 반응: 과매수 구간으로 인한 조정 가능성 언급, 그러나 반도체 AI 중심으로 시장은 우상향할 것이라는 전망. 조정 시 매수를 권유.
- 섹터별 밸류에이션:
- 헬스케어: 역사적 저평가 구간 (12%).
- 부동산: 기회가 오고 있으며, 중소형 리츠 기업도 유망할 수 있음.
- 뱅크 오브 아메리카 수석 롱돌리 전략가 분석 [33:23]:
- 현재 밸류에이션은 불편하지만, 새로운 시대가 열리고 있으며, 과거와는 다른 가치 표준을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.
- S&P 500 기업들의 부채 대비 자기자본 비율 하락, 변동 금리 부채 영향 적음, 신용 등급 상승 등을 근거로 기업 체력이 전반적으로 좋아졌다고 분석.
- 현재 높은 밸류에이션은 정당화될 수 있다고 강조.
- 과거와 다른 환경, 기업 내실 개선을 통해 새로운 시대가 열릴 것이라는 점을 반복 강조.
## 기타 뉴스 및 총평 [36:32-43:58]
- 스타벅스: 회사 재건을 위해 수백 개 매장 폐쇄.
- 메타플랫폼: 광고 사업 개선을 위해 구글 클라우드 및 AI 모델 사용 논의.
- 미정부 셧다운 가능성: 과거 셧다운 시 시장은 상승했음을 근거로 우려할 필요 없이 매수를 권유.
- 일론 머스크: 테슬라 상장 당시 시총의 0.1% 가치 언급.
- 미국 자산 비중: 한국 부동산 주식 비중과의 비교.
- 시장 총평:
- 셀(Sell)은 없다. 바이(Buy), 바이 바이(Buy Bye)만 유효.
- 금리에 대한 우려감은 불필요.
- 조정 시에는 매수해야 하는 타임.
- 경기가 좋다는 것은 긍정적이며, 즐겨야 함.
- 향후 전망: 4분기 기대감, PCE 지표 발표 결과에 따른 안도감 예상.
- 방송 콘텐츠 예고: 미국 주식 초보자를 위한 튜토리얼 영상 제작 예정.
- 마무리: 한 주 동안 시청해 주셔서 감사하며, 다음 주 월요일에 다시 찾아뵙겠다고 인사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