← Back to Summaries

Snippy Summary

Making $100K/month with iOS apps (BREAKDOWN)

September 26, 2025 01:00
Greg Isenberg avatar
Greg Isenberg
Visit channel →

100K MR 모바일 앱 구축 가이드

이 영상은 어떻게 하면 월 10만 달러(MR, Monthly Revenue) 이상의 수익을 창출하는 모바일 앱을 구축할 수 있는지에 대한 포괄적인 로드맵을 제공합니다. 경험이 적더라도 틈새 시장을 공략하고, 사람들의 공감을 얻으며, 적절한 마케팅 채널을 활용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.

주요 내용

1. 100K MR 앱의 핵심 원칙 (0:00-3:40)

  • 습관 공략: 매일 반복하는 습관을 해결하는 앱을 선택해야 합니다. 이는 앱 사용 빈도를 높여주기 때문입니다.
  • 좁은 틈새 시장: 경쟁이 치열한 거대한 시장보다는 좁고 구체적인 사용 사례를 찾아야 합니다.
  • AI 활용: 현재 소비자들은 AI 기반 제품에 대한 관심이 높으므로, AI를 앱에 통합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  • 빠른 프로토타이핑: Lovable, Bolt, ROR, Vibe Code App 등의 도구를 사용하여 짧은 시간 안에 프로토타입을 제작해야 합니다.
  • 집중된 유통 테스트: 여러 채널을 동시에 시도하는 대신, 하나의 채널에 집중하고 주당 3가지 형식의 콘텐츠를 테스트합니다. (예: Instagram 또는 TikTok)

2. 사용자 확보 및 성장 전략 (3:40-12:33)

  • 초기 사용자 확보: 앱을 성공적으로 출시한 후, 100명(또는 12-25명)의 '진짜' 사용자를 확보하고 피드백을 받습니다.
  • 수익화 모델: 월간, 주간, 또는 연간 구독 방식을 활용합니다.
  • 유지 및 추천: 사용자가 친구를 초대하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입소문을 유도합니다.
  • 확장: 광고, ASO(앱 스토어 최적화), 제휴 마케팅을 통해 앱을 확장합니다. 제휴 수수료는 일반적으로 15-40% 범위입니다.

3. 습관 및 틈새 시장 발굴 (5:08-9:57)

  • 구체적인 습관 예시:
    • 건강/웰니스: 수면 추적의 미묘한 차이, 마이크로 저축 챌린지
    • 학습: 10분간의 집중 훈련
    • 운동: 폼 피드백 순간
  • 수요 증거 확인:
    • 유료 수요: 사람들이 기꺼이 돈을 지불할 의사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
    • 검색량 및 커뮤니티: Reddit, Facebook 그룹 등에서 사용자들이 어떤 문제점을 겪고, 어떤 제품을 요청하는지 분석합니다.
    • 경쟁사 틈새: 경쟁 앱이 놓치고 있는 부분을 찾습니다.
    • 높은 빈도: 주간 또는 월간 사용보다는 매일 또는 하루 여러 번 사용하는 경우에 집중합니다. (예: Cal AI - 음식 사진 촬영 시 칼로리 분석)
  • 수요 발굴 도구:
    • Reddit: 상위/베스트 게시물을 정렬하여 사용자들의 대화와 요구사항을 파악합니다.
    • Idea Browser: AI를 활용하여 Facebook 그룹 및 Reddit에서 페인 포인트, 요청 제품, 습관 등을 자동으로 스크랩하고 분석합니다.
    • TikTok: 관련 키워드를 검색하고, '좋아요' 순으로 필터링하여 수요를 확인합니다.

4. 앱 스토어 최적화 및 온보딩 (9:57-12:33)

  • 앱 스토어 최적화:
    • 이름: 기억하기 쉽고 매력적인 이름 (예: Vibe Code App)
    • 미리보기: 사용자의 다운로드를 유도하는 매력적인 이름과 스크린샷, 비디오를 포함합니다.
  • 온보딩:
    • 60초 이내: 최대한 짧고 간결하게 가치를 제공해야 합니다.
    • 가치 우선: 사용자에게 즉각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데 집중합니다.
    • 첫 승리: 첫 24시간, 심지어 첫 30분~2시간 내에 사용자가 앱의 가치를 경험하고 '승리'를 얻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(MVP는 습관의 첫 승리에 집중)
    • 루틴 구축: 첫 승리 이후, 7일 안에 3번의 세션을 통해 사용자가 앱 사용 루틴을 형성하도록 유도합니다.

5. 수익화 모델 및 가격 책정 (12:33-14:04)

  • 무료 체험: 7일 무료 체험이 효과적입니다.
  • 가격: 월 7달러에서 40달러 사이.
  • 결제 방식:
    • 첫 습관 달성 후 유료 전환
    • 월 5-10달러의 프로 팩 애드온 (MVP 이후 고려)
    • 연간 구독 (예: 49달러/년)
    • 팀/그룹 플랜 (MVP 이후 고려)

6. 사용자 유지 및 복귀 (14:04-16:41)

  • 첫 승리: 사용자가 앱 다운로드 후 24시간 내에 첫 성공(첫 승리)을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.
  • 루틴 구축: 첫 승리 후, 7일 안에 3번 앱 사용을 유도하여 습관을 형성합니다.
  • 비활성 사용자 관리:
    • 알림 및 혜택: 앱을 사용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가치 있는 알림이나 혜택을 제공하여 복귀를 유도합니다. (자신이 아닌 사용자의 입장에서 생각해야 합니다.)
  • 활성 사용자 관리:
    • 스트릭 및 동기 부여: 연속 사용 기록(스트릭)을 통해 사용자 동기를 부여합니다.
    • 추천 유도: 앱을 매일 사용하는 충성 사용자들에게 제품 공유 및 추천을 독려하여 옹호자로 만듭니다.

7. 고객 확보 채널 (16:41-19:15)

  • 유기적 (Organic):
    • TikTok 채널 운영 (여러 개일 수도 있음)
    • Instagram + ManyChat 연동 (댓글 시 자동 DM)
    • SEO, GEO, X (구 Twitter) 활용
  • 보유 (Owned):
    • 인앱 공유 프롬프트
    • 추천 프로그램 (예: 친구 3명 초대 시 1개월 무료)
  • 유료 (Paid):
    • Apple Search Ads (ASA)
    • Facebook & Instagram 광고 (수십~수백 개의 크리에이티브 제작)
    • 클리핑 (Clipping): 장문의 콘텐츠를 짧은 형식으로 편집하여 배포하는 방식. (주의: 전환율이 낮을 수 있음. 97%는 낭비될 수 있다고 언급)

8. 30일 내 수익 창출 로드맵 (19:12-19:47)

  1. 틈새 정의 (1-3일): 앱의 핵심 가치와 타겟 사용자를 명확히 합니다.
  2. 와이어프레임 및 프로토타입 제작 (3-7일): 앱의 구조와 흐름을 설계합니다.
  3. 핵심 루프 구축 (7-15일): 사용자가 반복적으로 경험할 핵심 기능을 개발합니다. (Reddit, TikTok, Idea Browser 등으로 검증)
  4. 전략 구현:
    • 데이터 추적 (Telemetry)
    • 유료화 벽 (Paywall) 설정
    • 온보딩 프로세스 최적화
    • ASO
    • 채널 테스트
    • 유지 (Retention) 집중

9. 핵심 지표 (20:17-23:31)

  • 월 수익 (MR): 목표 금액
  • 유지율 (Retention):
    • D7, D30 (7일, 30일 유지율)
    • 스트릭 비율 (Streak Percentage) - 저평가되었지만 중요
  • 수익:
    • ARPPU (Average Revenue Per Paying User)
    • ARPU (Average Revenue Per User)
    • 무료 체험 전환율 (Trial to Paid Percentage)
    • 연간 결제 비율 (Annual Mix Percentage)
  • 획득 (Acquisition):
    • CPI (Cost Per Install)
    • 유기적 설치 수 (Organic Installs)
    • ASACT (App Store Connect)
  • 바이럴 (Referral):
    • 사용자당 초대 수
    • K-factor (1 이상 목표) - 한 사용자가 다른 사용자를 얼마나 많이 데려오는가
  • 활성화 (Activation):
    • D0-D1 성공률 (Day Zero to Day One Success)
    • 가입 완료율
    • 첫 승리까지 걸리는 시간 (Time to First Win)

10. 기능 개발 우선순위 (21:21-22:25)

  • ICE Score:
    • Impact (영향): 해당 기능이 사용자 경험 또는 비즈니스에 미칠 영향
    • Confidence (확신): 해당 기능의 성공에 대한 확신 정도
    • Effort (노력): 해당 기능을 개발하는 데 필요한 노력
  • 기능 개발: 주당 3가지 기능 배포 목표, 우선순위에 따라 핵심 기능에 집중.

11. 북극성 지표 (Northstar Metric) (22:23-23:31)

  • 주간 활성 유료 사용자 (Weekly Active Paying Users - WAPU)
  • 핵심 레버:
    • 획득 (Acquisition): 광고 예산, 유기적 마케팅
    • 활성화 (Activation): 온보딩 속도, 유료 전환율, 가격 책정
    • 주간 유지율 (Weekly Retention): 스트릭, 알림

12. 수익성 및 장기적 전략 (23:28-25:02)

  • 높은 총 마진: 소프트웨어 비즈니스는 80-90%의 높은 마진율을 가집니다 (Apple 수수료 제외 전).
  • 초기 유료 지출 자제: 처음에는 유료 광고보다 유기적 마케팅에 집중합니다.
  • LTV (Lifetime Value) 계산: ARPU x 월 유지 기간
  • LTV / CAC (Customer Acquisition Cost) 비율: 3 이상을 목표로 합니다. (최고의 앱은 3 이상)

13. 100K MR 앱 아이디어 (25:00-31:46)

  1. 강아지 알레르기 스캐너 (Dog Allergy Scanner):

    • 대상: 음식 민감성이 있는 강아지 주인.
    • 기능: 식품 라벨 사진을 찍으면 AI가 강아지 알레르기에 안전한지 플래그.
    • 코어 루프: 스캔, 저장, 즐겨찾기.
    • 수익화: 월 5달러 (다중 반려동물, 수의사 Q&A, 맞춤 식단)
    • 성장: 수의사 제휴, 반려동물 TikTok.
    • 특징: "킬러" 아이템, 명확한 문제 해결.
  2. 편두통 날씨 경고 (Migraine Weather Guard):

    • 대상: 편두통 환자.
    • 기능: 초정밀 날씨 및 기압 변화를 활용하여 편두통 발병 몇 시간 전에 경고. 증상 기록, 개인 트리거 모델 구축.
    • 수익화: 월 7달러 구독, 편두통 관련 제품 제휴 (냉각 캡, 보조제).
    • 성장: Reddit 편두통 그룹, 신경과 클리닉, 편두통 TikTok.
    • 특징: "킬러" 아이템, 제휴 수익 가능성.
  3. 조용한 스터디 타이머 (Silent Study Timer):

    • 대상: 경쟁 시험 준비 학생 (MCAT, CFA, BAR 등).
    • 기능: 일반적인 뽀모도로 타이머가 아닌, 가상 도서관 분위기를 연출하는 공유 스터디 룸 (아바타, 스트릭, 공부 시간 리더보드).
    • 수익화: 연 29달러 (고급 분석 기능, 몰입도 측정)
    • 성장: YouTube "Study With Me" 채널, Discord 서버.
    • 이름 예시: "Locked In".
    • 고려사항: 학생들은 다른 그룹보다 유료 전환율이 낮을 수 있음.
  4. 식물 물주기 AI 코치 (Plant Watering AI Coach):

    • 대상: 도시 아파트 거주자 (높은 구매력).
    • 기능: 식물 사진을 찍으면 종 식별, 물주기 및 햇빛 스케줄 제공, 날씨 연동 알림.
    • 수익화: 월 3달러 프리미엄 (토양, 화분, 비료 제휴).
    • 성장: Instagram 식물 인플루언서, Etsy 식물 판매자.
    • 고려사항: 이미 경쟁이 치열하지만, 차별화된 이름과 브랜딩으로 기회 존재.

핵심 요약 및 인사이트

  • AI의 중요성: AI는 현재 소비자들의 관심을 끄는 핵심 요소이며, 새로운 행동 양식을 가능하게 합니다.
  • 틈새 시장의 기회: 소비재 모바일 앱 시장이 포화된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, 끊임없이 새로운 습관과 마이크로 틈새 시장이 등장하고 있어 여전히 큰 기회가 있습니다.
  • 사용자 중심 접근: 모든 기능과 마케팅 전략은 사용자에게 실질적인 가치를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.
  • 빠른 실행 및 반복: 아이디어를 빠르게 프로토타이핑하고, 유통 테스트를 통해 가설을 검증하며, 데이터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개선해나가야 합니다.
  • 북극성 지표 설정: WAPU와 같은 명확한 북극성 지표를 설정하고, 이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레버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•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: 유지율, 전환율, LTV/CAC 비율 등 핵심 지표를 지속적으로 추적하고 분석하여 전략을 조정해야 합니다.

본 영상은 100K MR 앱을 구축하기 위한 실질적인 프레임워크와 아이디어를 제공하며, 특히 AI와 틈새 시장 공략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.